share
스크랩
#오늘의 픽

1F 🔮신들린 챗GPT 근황

  • #사주
  • #챗GPT
  • #타로

 최근 챗GPT로 사주보는 법이 인기를 끌고 있어요.
✅ 사주풀이나 오늘의 운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도 인기예요.
✅ 오늘의 운세를 확인할 수 있는 NFC 키링이 유행이에요.

사원님, 사주나 타로 좋아하세요?🔮 사주나 타로를 본 적이 없어도 오늘의 운세를 본 경험, 다들 한 번씩 있으실 것 같아요. 그런데 요즘 MZ세대 사이에서 사주와 타로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인스타그램에 ‘사주팔자’를 검색하면 유형에 따른 성격과 성향을 분석해 주는 콘텐츠가 쏟아지는 것은 물론이고요. 사주·타로를 배울 수 있는 인기 유튜브 영상 조회 수는 적게는 10만 회에서 많게는 100만 회에 달하는데요. 심지어 요즘은 이렇게도 사주를 본다고 해요!😲

“올해는 취업할까?”

최근 SNS에서는 AI로 사주보는 법이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 이전에는 자신의 생년월일만 넣는 방식으로 사주풀이를 했다면, 최근에는 ‘만세력’을 챗GPT에 학습시켜 자신의 사주풀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볼 수 있어요. 🔎챗GPT로 사주를 보는 방법은 먼저 앱 ‘만세력 천을귀인’에서 자신의 만세력을 캡처하고요. 챗GPT에 캡처한 사진을 첨부한 뒤, 다정하게 질문하는 거예요. 이때 이모티콘과 칭찬을 곁들이면 더 좋아요.👍 또 상황과 질문이 명확할수록 자세하게 알려주는데요. 앞의 질문에 덧붙여 질문할수록 조금 더 자세히 알려준다고!

이처럼 챗GPT는 질문 창에 생년월일과 만세력, 궁금한 질문을 넣으면 실제 점술가처럼 그에 알맞은 대답을 해주는데요. 일방적으로 정보만 전달하는 기존 사주 애플리케이션이나 플랫폼과는 차별화되는 부분이죠. 실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챗GPT에 사주 봐 달라고 하면 봐주는데 은근 용하다”, “음양오행을 기반으로 세세하게 설명해 준다” 등의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어요.

올해 운세는?

사주풀이나 오늘의 운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도 인기인데요. 이들 앱은 방대한 데이터와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정교한 개인 맞춤형 운세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요.📊 그 예로 ‘점신’은 AI 딥러닝 기술을 통해 방대한 양의 운세 데이터를 분석해 개인별 운세를 제공하고요. ‘포스텔러’는 자체 개발한 ‘FAS(Fortune Analysis System)’를 통해 사주, 토정비결, 타로, 별자리, 해몽 등 다양한 운세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어요. 모바일 인덱스에 따르면 포스텔러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지난해 12월 62만 8,208명으로 전년 동기(48만 9,745명) 대비 28% 증가했는데요. 지난 1월, 새해맞이 수요 5만 명이 더해져 67만 8,052명을 기록했다고!📈

완전 럭키비키잖아!

매일 운세를 확인할 수 있는 키링도 있는데요. 노플라스틱선데이의 ‘태그미 럭키 키링’은 스마트폰 NFC 안테나에 키링을 태그하면, 매일 나의 운세와 함께 오늘의 행운을 확인할 수 있어요. 🍀사용방법은 간단해요. 네잎클로버 모양의 키링을 스마트폰에 태그하면 ‘오늘의 운세보기’ 창이 뜨고요. 몇 초만 기다리면 ‘아이디어가 샘솟는 기분 좋은 날이 되겠어’ 등의 운세와 함께 행운의 색상, 숫자, 음식 등이 펼쳐져요. 노플라스틱선데이에 따르면 태그미 럭키 키링은 업체의 전체 상품 중 가장 많은 판매량을 기록했다고!

출처: 노플라스틱선데이

이처럼 운세를 확인하는 방법이 점차 다양해지고 있는데요. 운세의 긍정적인 조언을 잘 활용해 하루를 기분 좋게 시작해 보는 건 어떨까요?☺️

2F 대출 금리는 왜 안 떨어져요?

  • #대출금리
  • #예금금리
  • #InterestRate

✅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이전보다 0.25%p 내린 2.75%로 결정했어요.
✅ 예금금리도 기준금리 인하에 맞춰 2%대로 내려가고 있어요.
✅ 대출 금리는 시장금리만큼 떨어지지 않아 예대금리차가 커지고 있어요.

다시 열린 기준금리 2% 시대

바로 어제 한국은행 정례 회의가 열렸는데요.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번 정례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이전보다 0.25%p 내린 2.75%로 결정했어요. 이 같은 기준금리 인하 기조는 시장금리에도 반영되면서, 시중은행 대표 정기예금 상품(1년 만기 기준)들의 금리도 3%대에서 2%대로 내려오기 시작했어요. 하지만 대출 금리의 경우 여전히 가계대출 관리 등의 명분으로 시장금리 하락 폭만큼 떨어지지 않고 있는데요. 이를 두고 예대금리차(대출 금리-예금금리)가 벌어지면서 은행 이익만 늘어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어요. 

예금금리 2%로 내릴게요

KB국민은행은 지난 24일 대표 예금 상품인 ‘KB스타 정기예금’의 최고금리(1년 만기 기준·우대금리 포함)를 기존 연 3.00%에서 2.95%로 낮추기로 했는데요. 해당 상품의 최고금리는 지난 2022년 7월 10일 2%대에서 3%대로 올라섰다가 약 2년 7개월 만에 다시 2%대로 내려온 거예요. 신한은행 역시 20일 대표 예금 상품 ‘쏠편한 정기예금’의 최고금리(1년 만기 기준·우대금리 포함)를 연 3.00%에서 2.95%로 0.05%p 인하했는데요. 이 상품 역시 2022년 6월 이후 2년 8개월 만에 다시 2%대 금리로 내려온 거예요. 

다른 🏦은행들도 줄줄이 ‘시장금리 반영’을 내세워 예금금리를 내리고 있는데요. SC제일은행은 지난 17일부터 네 가지 거치식예금(정기예금) 금리를 최대 0.50%p 낮췄고, 하나은행도 14일 ‘하나의 정기예금’·’고단위플러스 정기예금’·’정기예금’ 등 3개 상품의 12∼60개월 만기 기본 금리를 0.20%p씩 일제히 하향 조정했어요. 

점검이 필요하겠어요🧐

예대금리 차가 점점 벌어지자, 금융당국은 은행권의 대출 금리 산출 점검에 나서겠다밝혔는데요. 한국은행이 지난해 10월부터 두 차례 기준금리를 인하했지만, 은행권은 대출 금리를 올려 이자 수익을 챙겼다는 지적 때문이에요. 금융당국은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효과가 은행권 대출 금리에 충분히 전달되고 있지 않다는 지적에 따라 대출 세부 현황을 들여다볼👀 방침이라고 밝혔어요. 

🔎 대출 금리는 어떻게 정해지나요?
▪️ 은행의 대출 금리는 은행채 금리와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등 시장금리를 반영한 ‘지표금리’에 은행이 추가하는 ‘가산금리’를 더해 결정되는데요. 여기에 은행 본점이나 영업점장 재량으로 조정할 수 있는 ‘우대금리’가 적용되기도 해요. 

기준금리는 내려가고 있지만, 대출 금리는 기대만큼 떨어지지 않고 있는데요. 예금금리는 빠르게 낮아지면서 은행의 자금 조달 비용은 줄었지만, 대출 금리는 가계대출 조이기를 이유로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요. 금융당국이 대출 금리 산출 과정을 점검하겠다고 나선 만큼, 앞으로 은행권이 어떤 변화를 보일지 지켜봐야겠어요!

3F 당신의 삶의 만족도는 몇 점?

  • #통계청
  • #삶의만족도
  • #OECD

✅ 통계청이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를 발간했어요.
✅ 우리나라는 OECD 38개국 중 33위를 기록했어요.
✅ 경제, 사회, 심리적 요인들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쳐요. 

삶의 만족도가 많이 낮아요

사원 여러분들은 현재의 삶에 얼마나 만족하고 계세요? 지난 24일 통계청이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를 발간했는데요.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대한민국 국민의 삶의 만족도는 6.4점으로 전년보다 0.1점 📉하락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0.63점 낮았는데요. 점수만 놓고 보면 OECD 38개국 중 33위를 기록해 여전히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어요.

특히 💰소득이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더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는데요. 월 소득 100만 원 미만인 가구의 만족도는 5.7점으로, 600만 원 이상인 가구(6.6점)보다 확연히 낮았어요. 직업별로도 차이가 컸는데요. 사무직과 전문직은 6.7점으로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농업과 기능직은 6.1~6.3점 수준에 머물러 전반적으로 경제적 안정성이 삶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확인됐어요.

범죄는 늘고, 대인 신뢰도는 하락

특히 이번 보고서에서 눈에 띄는 건 범죄 피해율인데요. 범죄 피해율은 2022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6,439건으로 2020년보다 약 2,600건 📈증가했어요. 2016년(3,556건), 2018년(3,678건), 2020년(3,806건) 때만 보더라도 조사 연도 기준으로 4천 건을 넘지 않았는데, 이번 조사에선 급격히 늘었어요. 범죄가 증가하면서 야간 보행 안전도는 2022년 때보다 0.9%p 낮아진 69.5%를 기록했고요. 다른 사람을 얼마나 믿는지에 대한 척도인 대인 신뢰도는 2023년 52.7%로 전년도보다 1.9%p 하락해 사회 전반에 걸쳐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모습이에요.

이와 함께 사회적 고립 문제도 심각한 상태인데요. 신체적, 정신적 위기 상황에서 도움을 받을 곳이 없는 사람이 33%에 달했고, 독거노인 비율도 22.1%로 증가했어요. 특히 60세 이상은 ‘이야기할 상대가 필요할 때’ 도움받을 곳이 없다는 응답이 26.9%로, 다른 연령대보다 현저히 높게 나타나서 우리 사회가 고령층의 정서적 지원을 더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어요.

행복과 우울의 온도차가 커요

그렇다면 국민들의 감정 상태는 어떨까요? ‘어제 얼마나 행복했는가’를 측정하는 긍정 정서는 6.7점으로 전년과 동일했지만, ‘어제 얼마나 걱정되고 우울했는가’를 나타내는 부정 정서는 3.1점으로, 소폭 감소했어요. 😄행복과 😔우울의 🌡온도차는 소득 수준에 따라 차이가 컸는데요. 저소득층에서는 부정 정서가 3.4점 이상으로 높았고, 고소득층에서는 3.0점 이하로 낮았어요. 

이번 보고서를 종합해 보면 우리 국민들의 삶의 만족도는 경제적, 사회적, 심리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얽혀 영향을 받고 있는데요. 다음 조사 때는 우리 모두 노력해서 행복 지수가 더 높아진 보고서가 나왔으면 좋겠어요.🙏🏻

4F 📺 가격 이것 뭐에요~?

  • #물가
  • #식비
  • #장바구니

사원님들, 혹시 요즘 높아진 물가💸 체감하시나요? 예전에는 5,000원을 들고 편의점에 가면 이것저것 한 아름 사서 나올 수 있었지만, 요즘은 그렇지 않죠. 식재료부터 음식까지 많은 게 비싸진 요즘, 특히나 더 비싸진 것들이 있다는데요. 과거에는 저렴한 가격 덕분에 적은 돈으로도 왕창 먹을 수 있었지만, 이제는 더 이상 그럴 수 없는 음식들은 무엇이 있을까요? 한국에서 비싸기로 유명한 빵부터 밥도둑 간장게장, 이제는 ‘금징어’라고 불릴 정도인 오징어까지! 도대체 무슨 이유로 비싸진 건지 궁금하시다면 이번 영상에서 확인해 보세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