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스크랩
#오늘의 픽

1F 흠뻑쇼 암표, 이렇게 막는다!

  • #싸이
  • #암표
  • #흠뻑쇼

✅ 흠뻑쇼는 암표를 막기 위해 NFT 선예매 시스템을 도입했어요.
✅ NFT는 모든 이력이 투명하게 기록돼요. 
✅ 시스템적인 한계도 존재해요. 

눈물의 예매 전쟁

매년 여름이면 치열한 예매 전쟁이 벌어지는 공연이 있는데요. 바로 싸이의 ‘흠뻑쇼’!🌊 지난해에는 분당 최대 800만 건의 접속이 몰릴 정도로 폭발적인 관심을 모았는데요. 문제는 이런 열기를 틈타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한 암표상들이 티켓을 대량으로 사들인 뒤, 이를 정가의 몇 배에 되팔고 있다는 점이에요. 실제로 흠뻑쇼는 온라인 암표 거래가 가장 많이 발생한 공연으로 꼽히기도 했는데요. 공연을 진심으로 기다린 팬들은 제값에 티켓을 구하기조차 어려워지고 있죠.

출처: 피네이션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싸이의 소속사 피네이션은 2022년부터 NFT 기반의 ‘PSYger(싸이거)’를 도입했어요.💥 싸이거 NFT를 보유한 사람에게 일반 예매에 앞서 선예매 기회가 주어지는데요. 무차별적인 매크로 예매를 막고, 실제 팬들에게 우선권을 주기 위한 전략으로 NFT를 활용한 셈이에요.

왜 NFT일까?

📌NFT는 ‘대체불가능토큰’이라는 뜻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고유한 식별번호와 거래 기록이 남는 디지털 자산인데요. 위조나 중복 발급이 불가능하고, 누가 언제 거래했는지 모든 이력이 투명하게 기록되는 것이 특징이죠.

최근 암표 거래 수법은 점점 교묘해지고 있는데요. 단순히 🎟️티켓 QR 코드를 전달하는 걸 넘어서, 티켓을 구매한 계정(ID) 자체를 넘기는 방식까지 등장했어요. 이렇게 되면 본인 인증 절차를 피하면서 암표 거래가 가능해지죠. 하지만 NFT 기반 티켓은 다른 기기에서 로그인할 경우 추가 본인 인증이 필요하고, 주민등록번호, 휴대전화 번호 같은 개인 정보까지 확인되기 때문에 사실상 타인에게 넘기기가 어려워요. 이런 점에서 NFT 예매 시스템은 암표 거래를 기술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구조로 평가받고 있어요.

예매 방법 AtoZ

NFT를 통한 티켓 예매 과정은 이러해요. 먼저 업비트에 가입하고요. 이더리움을 구매한 뒤, 싸이거 NFT를 거래해요. 이후 업비트 PASS 인증을 거쳐 NOL티켓으로 연동하면 선예매가 가능해지는데요. 기존에 운영되던 별도의 NFT 예매 홈페이지보다 절차가 개선되었지만, NFT 거래에 익숙하지 않은 이용자들에게는 진입장벽이 높은 편이에요.

해당 시스템에는 한계도 존재하는데요. 싸이거 NFT는 콘서트 선예매 외에는 특별한 활용도가 없으며, 공연 시기를 전후로 수요에 따라 가격이 급등락해요.📉 공연이 끝나면 단순한 디지털 파일로 남기 때문에, 투자 가치나 지속적 효용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죠.

최근 일부 공연들이 NFT 예매 방식을 도입하고 있는데요. 해당 방식이 암표 문제의 실질적인 해결책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지켜보자고요!

2F 계란+라면 = 호화정식?!

  • #장바구니
  • #소비자물가
  • #가공식품

✅ 초콜릿, 커피, 라면 등 가공식품 가격이 전방위적으로 인상됐어요.
✅ 라면의 일부 제품은 개당 2,000원을 넘어섰어요.
✅ 소비자들의 체감 물가 부담이 커지고 있어요. 

줄줄이 오르는 장바구니 물가

최근 6개월 사이 초콜릿, 커피, 빵, 라면 등 가공식품🛒 가격이 전방위적으로 올랐는데요.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대비 가격이 오른 품목은 가공식품 74개 품목 중 53개로 무려 72%에 달했어요. 5% 이상 상승한 품목도 19개에 달했는데요. 초콜릿(10.4%), 커피(8.2%)가 큰 폭으로 올랐고 양념 소스, 젓갈, 식초류는 7%, 라면, 빵, 아이스크림, 유산균 등도 5% 안팎으로 상승했어요. 식용유, 두부, 밀가루 등 일부 품목의 물가는 내려가긴 했지만, 전반적인 흐름은 확실한 ‘상승세’를 보였어요. 

라면 한 봉지에 2천 원 시대

대표적인 서민 먹거리였던 🍜라면은 이제 개당 2,000원에 육박하게 됐는데요. 농심은 올해 들어 약 20종 제품의 가격을 인상했어요. 이에 따라 신라면 블랙·더레드 등 프리미엄 라면은 1,800원, 일부 제품은 2,000원까지 올랐는데요. 오뚜기 역시 참깨라면, 진짬뽕, 열치즈라면 등의 용기면 가격을 줄줄이 올렸고 마라샹궈 같은 신제품은 2,300원, 빅컵누들은 2,500원으로 가격이 책정됐어요. 

문제는 이 가격 인상이 단순한 일회성이 아니라는 점인데요.🤔 전문가들은 탄핵정국과 국정 혼란기 이후 물가 안정 기조가 약해진 틈을 타 기업들이 줄줄이 가격을 올린 것으로 분석했어요. 실제로 가공식품의 월간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1월 1.3%에서 올해 5월엔 4.1%로 세 배 이상 커졌고 2년 전인 2022년 5월과 비교해 보면 가공식품 74개 중 무려 71개 품목의 가격이 오른 상황이에요. 그중 50개는 두 자릿수 이상 오른 것으로 나타났어요. 

장보기가 무서워요

먹거리 물가 상승은 체감 물가에 🚀직격탄이 될 수밖에 없는데요. 빵, 라면처럼 일상적이고 반복적으로 구매하는 품목일수록 가격 변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어요. 특히 저소득층일수록 가공식품 소비 비중이 크다는 점에서 이번 가격 상승 흐름은 서민들에게 큰 부담으로 다가오고 있어요. 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물가 안정’이 민생 최우선 과제로 떠오른 만큼, 앞으로 식품업계와의 줄다리기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여요. 

물가 상승이 한두 달로 끝날 흐름은 아닌 만큼, 장보기를 둘러싼 소비자들의 👀눈치싸움도 당분간 계속될 것 같아요. 익숙한 가격이 낯설어지고, 간식 하나 고르기도 망설여지는 요즘. 가계 부담을 덜어줄 현실적인 대안과 현명한 소비 전략이 더 절실해졌어요.

3F 🏢 아파트에서 공연하는 밴드

  • #아파트
  • #공연장
  • #솔루션스

✅ 밴드 ‘솔루션스’가 철거 예정 아파트에서 공연했어요.
✅ 독특한 공연 콘셉트에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어요.
✅ 많은 공연이 이색적인 곳에서 개최되고 있어요.

사원님들, 콘서트 좋아하시나요? 보통 콘서트는 🎤정규 공연장에서 진행하는 경우가 많죠. 그런데 지난 7일, 한 밴드의 단독 콘서트가 철거 예정인 ‘아파트’에서 진행됐는데요. 심지어 객석은 아파트 🚗주차장이에요. 독특한 콘셉트의 콘서트에 누리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어요.

아파트에서 공연을 한다고?

출처: 인스타그램 @the_solutions

서울 홍제동의 인왕아파트에서 🎸밴드 ‘솔루션스’의 단독 콘서트 ‘퓨처 펑크 스테이지’가 개최됐는데요. 인왕아파트는 1968년에 완공되어 현재 재개발을 앞두고 철거를 준비 중이죠.🤔 현재 아파트에는 주민들이 전부 떠나 아무도 살고 있지 않아요. 이쯤 되면 아파트를 어떻게 공연장으로 활용했는지 궁금하실 텐데요. 위 사진처럼 밴드 멤버들은 아파트 안 특정 호실에 들어가 거실과 베란다에서 연주해요. 객석은 600명 규모의 입석으로, 주차장에 울타리를 놓아 만들었죠.

소셜미디어에서 뜨거운 반응

철거를 앞둔 아파트와 밴드 공연이라는 이색적인 조합은 온라인 커뮤니티와 여러 소셜 미디어에서 주목을 받았는데요. 누리꾼들은 “이런 층간소음이라면 평생 🤗듣고 싶다”, “공연 컨셉 진짜 좋다” 같은 반응을 보이며 호응했죠. 하지만 일각에서는 주변 다른 아파트 주민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목소리도 있었다고.🥲

공연을 주최한 기획사 관계자는 “서울에서 밴드가 설 만한 중규모 공연장을 찾기 어려워 색다른 무대를 발굴했다”고 밝혔는데요. 실제로 전문가에 따르면 현재 가장 큰 공연장인 서울 잠실종합운동장(서울올림픽주경기장)이 리모델링에 들어가면서 연쇄적으로 공연장 부족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하죠.😲

공연장이 아닌 곳도 무대로

출처: 하이브, 인스타그램 @asianpopfestival_kr

이런 흐름에 따라 정규 공연장이 아닌 바깥에서 개최하는 공연이 종종 등장하고 있는데요. 지난 25일, 케이팝 그룹 세븐틴은 서울 🌉잠수교에서 데뷔 10주년 기념 무료 공연을 열었죠. 다리 중간에 무대를 설치하고, 인근 한강의 유람선과 다리 난간의 분사기 등을 통해 무대를 연출했어요.

올해로 두 번째 개최하는 아시안팝페스티벌은 인천 파라다이스시티 🛏️호텔의 컨벤션홀과 잔디광장, 음악 클럽 등을 공연장으로 사용하는데요. 음악과 호캉스를 결합한 ‘뮤캉스’를 축제 대표 이미지로 내세우고 있죠.

아파트의 베란다, 한강의 다리가 무대로 변한다니 너무 신기하지 않나요?🤩 다음에는 또 어떤 특별한 장소에서 콘서트가 열릴지 궁금해지네요.

4F 📺 간.계.밥이면 한 끼 뚝딱

  • #달걀
  • #간장계란밥
  • #뉴욕타임스

한국인이라면 한 번쯤은 먹어본 바로 그 음식! 간.장.계.란.밥. 간장의 짭조름함과 참기름의 고소한 냄새, 달걀의 감칠맛까지 더해져 맛이 없을 수가 없다는 간장계란밥, 일명 간계밥! 사원님들, 모두 드셔보셨죠? 배는 고픈데 요리하기는 귀찮고 간단하게 한 끼를 해결하고 싶을 때마다 찾게 되는 간계밥은 놀랍게도 뉴욕타임스에도 소개됐었다고! 자취생에게도 요.알.못에게도 빛과 소금이 되어주는 식재료 🥚달걀을 활용한 요리법은 전 세계적으로 무궁무진하다는데요! 다양한 달걀 요리가 궁금하시다면 이번 영상에서 확인해 보세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