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7.21
share
스크랩

산사태는 대도시도 위험해💥

✅ 바람이 없어도 나무가 흔들리는 등 산사태 전조증상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 기후변화로 극한호우가 잦아지면서 산사태 위험도 증가할 수 있대요.
✅ 산림청이 산사태 취약지역 관리 대상 확대와 예보·경보 체계를 마련하겠대요.

산사태 발생 전 미리 아는 방법은?

이번 집중호우로 20일 오전 11시 기준, 46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주택 침수, 도로 사면 유실 등 시설 피해가 2,278건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는데요. 비가 그치고 본격적인 조사에 나서면 피해 규모는 더 늘어날 전망이라고 해요. 특히 경북 예천군에서는 대규모 💥산사태가 발생해 산에서 흘러 내려온 토사와 바위가 마을을 관통하면서 한적했던 시골 마을이 한순간에 쑥대밭으로 변했는데요. 산사태로 인한 피해가 속출하자 산림청이 산사태를 사전에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했어요.

우리나라 산지는 경사가 급하고 풍화암·마사토 지대가 많아 ☔집중호우 때 산사태가 발생하기 쉬운데요. 따라서 경사면에서 갑자기 많은 양의 물이 샘솟거나 잘 나오던 샘물이나 지하수가 갑자기 멈춘다면 산사태 위험 신호로 봐야 한대요. 또한 산허리 일부에 금이 가거나 내려앉은 경우, 바람이 불지 않는데도 나무가 흔들리거나 넘어지는 경우, 산울림·땅울림이 들릴 때도 산사태가 발생할 조짐이거나 이미 산사태가 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산사태는 도시라고 안심할 수 없어요

산림청의 ‘최근 10년간 산사태 피해 규모’에 따르면 지난해 산사태 피해 면적은 372㏊로 지난 10년간 평균 244㏊에 비해 약 34% 증가했는데요. 피해 복구비도 10년 평균 583억 원에서 749억 원으로 28% 늘어났다고 해요. 2016년부터는 산사태 피해 면적도 급증하는📈 추세인데요. 산사태 피해 면적이 2016년에는 54㏊였지만 역대 최장 장마 기간(54일)을 기록했던 2020년에는 1,343㏊에 달해 축구장 1,880개 크기에 해당하는 규모가 피해를 입었어요. 

문제는 이번에 대규모 산사태를 유발했던 극한호우가 기후변화로 인해 더 잦아질 수 있다는 건데요.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2030년에는 수도권에 현재보다 극한호우가 20%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해요. 이에 따라 산사태 발생 확률도 5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전문가들도 우리나라는 전체 국토에서 산림이 차지하는 비중이 63%에 이르고, 지형 특성상 생활권에 인접해 있는 산지 사면이 많기 때문에 국내에 산사태 안전지대는 없다고 ⚠경고하고 있어요.

산림청 : 산사태 취약지역 대폭 확대할 계획

지난 2011년 서울 서초구 우면산에서 발생한 산사태로 78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된 이후, 산림청은 산림보호법에 따라 집중호우와 태풍으로 인한 산사태를 막아 국민의 생명과 재산, 산림을 보호하기 위해 ‘산사태 취약 지역’을 정해 관리하고 있는데요. 그런데 이번에 산사태로 큰 피해를 입은 예천군을 비롯한 대부분의 지역이 산사태 취약지역으로 지정돼 있지 않았다고❌ 해요. 산림청에 따르면 전국 산림 100여 곳 중에서 매년 약 1만 8,000곳에 대해 산림 기초조사를 실시하는데 인력 부족 등 현실적인 문제로 산사태 위험지역 조사가 어려운 실정이라는 거예요. 또한, 조사에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곳 중에서도 인위적 개발 등으로 지형이 급변해 산사태 위험이 높아지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요. 특히 이번에는 이례적인 극한호우가 쏟아지면서 더 피해가 컸다고.

이에 산림청은 지질 등 자연 요인, 생활권 등 사회 요인, 실시간 💧강우량을 반영한 토양함수량을 토대로 지역 주민을 신속히 대피시키는 과학적인 예보·경보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는데요. 특히 현행 산사태 위험지도 1등급 위주 산사태 취약지역 관리 대상을 전체 산림(1~5등급)으로 확대할 계획이래요. 

Top